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 정보/노인 건강21

어르신 의약품 복용 시 주의사항과 고혈압약 복용 시 유해반응 및 주의점 약은 우리 몸속에 들어가면 흡수되어 분포되고 대사과정을 거쳐 빠져나가게 됩니다. 어르신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체의 전반적인 기능이 떨어지고 활동이 저하되면서 생리적 기능이 저하됩니다 때문에 일반 성인에 비해 약물의 흡수, 배설, 효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단골 병원과 약국을 정해서 다니세요 여러 병원을 다니면 평소 복용하는 약물이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고 각 병원에서 비슷한 약물을 중복해서 처방받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른 병원을 방문할 경우 지금 복용하고 있는 약물의 처방전을 제시하여 약물이 중복되지 않도록 합니다. 현재 복용 중인 모든 의약품에 대해 알려주세요 약물명, 효능, 복용량, 복용법, 보관법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약에 대한 복약지도를 받은 경우 기록해 두세요. 현재 먹고 있는.. 2022. 9. 27.
[노인건강] 당뇨병 증상과 합병증 / 당뇨 환자의 인슐린 요법 당뇨 환자는 다뇨, 다음, 다식 이 3가지 현상이 대표적으로 나타난다. 몸이 나른하여 항상 피로와 권태가 쉽게 오며 매사가 귀찮을 때는 당뇨병의 초기 증상으로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피부에 부스럼이 잘 생기고 습진이나 무좀 같은 것이 걸리는데, 감염증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져서 염증이 생기면 잘 낫지 않게 된다. 당뇨병은 복합된 합병증이 수반되므로 병이 진행되는 것을 예방 및 치료하는 지식을 배워 스스로 고치도록 해야 한다. 당뇨병의 증상 다뇨(소변을 자주 본다) 다갈(목마름) 다식(허기를 느낌) 음식을 많이 먹는다 현저한 체중 감소 권태, 피로감, 집중력 저하 의욕이 감퇴됨 합병증에 의한 증상 당뇨병이 무서운 것은 혈당이 상승하고 요에 당이 나오는 것에 그치지 않고 혈압이 높아지고 중풍이 오며 다.. 2022. 4. 22.
[노인건강] 내분기계 질환 - 당뇨병의 종류와 원인 그리고 판정기준 당뇨병(Diabetes mellitus) 생활양식, 식생활의 변화로 40대 이상의 집단검진 결과를 보면 놀랍게도 10% 전후의 사람들이 당뇨병 진단을 받게 된다. 당뇨병은 짧은 시간에 치료가 되지 않고 거의 일생을 두고 스스로 관리를 해야 하는 질병이므로 이것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 당뇨병의 종류 1) 제 1형(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췌장의 인슐린 분비기능이 많이 저하되어 혈당치를 조절하고 혈당을 소비하게 하는 인슐린이 거의 분비되지 않은 상태 반드시 인슐린으로 치료해야 한다. 이 종류의 당뇨병은 거의가 유아기나 청년기에 발현하기 때문에 소아당뇨병이라고도 한다. 병의 발생이 급성적이며 비만과는 관계가 없고 경구용 당뇨병 치료는 효과가 없으며 케톤혈증이 발생되기 쉽고 당뇨성신증의 발병률이 높다. 인슐린 .. 2022. 3. 26.
[노인건강] 근골격계 질환 - 퇴행성 관절염/류머티스성 관절염/통풍성 관절염 원인 및 증상, 예방 및 치료 관절염이란? 의학적으로 관절염은 관절에 어떤 원인에 의해서든 염증성 변화가 생긴 것을 총괄해서 지칭하는 병명이다. 만성 관절염 범주에 들어가는 퇴행성 관절염, 류머티스성 관절염, 그리고 식생활 패턴의 변화로 많이 발생하는 통풍성 관절염이 문제시되고 있다. 퇴행성 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질환 중 가장 많으며 무릎관절 부위, 대퇴관절, 손끝 마디에 주로 발병한다. 원인 유전적인 소인은 손가락 원위지관절에 생기는 Herbeden's node 이외에는 별다른 가족력이 없다. 비만과의 관계는 체중부하관절에서 많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인정되고 있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45세 이하에서는 다소 남자에게 많고 폐경기 이후에는 여자에게 많다. 과도한 운동, 운동 부족은 모두.. 2022. 3.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