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호흡기계 질환 - 폐결핵 편
원인
인체의 결핵은 예외는 있으나 Mycobacterium tuberculosis라는 인형결핵균에 의해 발생한다.
- 폐결핵(pulmonary tuberculosis) 감염 초기에는 대개 무증상으로 경과하는 수가 많다.
- 집단 검진 시나 개인적인 흉부 촬영을 통해서 우연히 발견된다.
증상
- 발병 초기 증상은 오후 늦게 또는 저녁에 미열이 있다.
이것이 계속되거나 또는 일시적으로 단절된 후 재발되기도 한다. - 식욕이 없다.
- 안색이 창백해진다.
- 체중 감소가 나타난다.
초기에는 큰 체중 감소가 일어나지 않지만 중증이 되면 현저하다. - 오한은 열이 많이 상승할 때 중독증상으로 나타난다.
- 잠잘 때 식은땀을 흘린다.
- 고열이 나면 심계항진과 두통 증상도 보인다.
- 여성은 생리에 변화가 생긴다.
- 폐결핵의 주증상인 가래와 기침 그리고 그에 따른 각혈은 중증에서 나타난다.
- 각혈을 할 때는 2차 감염의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예방
미감염자가 감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결핵에 대한 면역을 부여하는 B.C.G(결핵을 예방하는 접종)를 접종
- B.C.G 접종은 원칙적으로 출생 후 4주 이내에 하도록 되어 있으나 부작용을 우려하지 않는 경향이 있고, 학교보건사업에서 집단생활을 시작하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에게 접종한다.
- 이후 6학년 때 튜베르클린(tuberculin) 검사를 하여 면역이 생겼는지를 확인한 다음 음성인 사람에 대해서는 재접종한다.
- B.C.G 접종의 유효성에 대한 논란도 있으나 현재로서는 결핵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치료
- 폐결핵 치료의 원칙은 약물요법이 주류를 이룬다.
-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안정, 영양요법, 대기요법, 등을 보조요법으로 쓰고 있다.
- 현재 쓰이는 항결핵제는 아이나(INA), 리팜피신(riphampic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등 13종류가 개발되어 있으며 과거에는 9개월 요법, 6개월 요법하여 투약기간이 상당히 길었으나 요즈음 3가지를 섞어 사용하는 병용요법으로 4개월 정도면 대부분 완치되고 있다.
출처 - 홍미령, "의학 일반", 양서원(2009)
반응형
'건강 정보 > 노인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건강] 근골격계 질환 - 퇴행성 관절염/류머티스성 관절염/통풍성 관절염 원인 및 증상, 예방 및 치료 (0) | 2022.03.25 |
---|---|
[노인건강] 근골격계 질환 - 디스크와 골다공증의 원인 및 증상, 예방과 치료법 (0) | 2022.03.22 |
[노인건강] 호흡기계 질환 - 급성상기도염, 유행성 독감, 기관지 천식의 원인과 치료 (0) | 2022.01.25 |
[노인건강] 뇌혈관계 질환 - 뇌졸중 원인 및 증상과 예방 및 치료 (0) | 2022.01.24 |
[노인건강] 동맥경화증 원인과 치료 (0) | 2022.01.23 |
댓글